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전투표율 지역별 분석 및 시사점

2022년 6월 1일에 실시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사전투표는 5월 27일부터 28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최종 사전투표율은 20.62%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이전 지방선거 대비 증가한 수치이지만, 대통령 선거나 국회의원 선거에 비해서는 낮은 참여율을 보였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공개된 사전투표 현황 정보를 바탕으로 지역별 투표율을 심층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논의해보고자 합니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전투표 현황 (지역별)

먼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지역별 사전투표율을 담은 표를 다시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시도명 선거인수 사전투표자수 사전투표율(%)
합계 44,303,449 9,133,522 20.62
서울특별시 8,378,339 1,776,365 21.20
부산광역시 2,916,832 542,288 18.59
대구광역시 2,044,579 302,504 14.80
인천광역시 2,534,338 508,933 20.08
광주광역시 1,206,886 208,569 17.28
대전광역시 1,233,557 243,550 19.74
울산광역시 941,189 184,958 19.65
세종특별자치시 292,259 65,440 22.39
경기도 11,497,206 2,190,942 19.06
강원도 1,336,080 336,628 25.20
충청북도 1,368,779 291,441 21.29
충청남도 1,803,096 365,213 20.25
전라북도 1,532,133 374,020 24.41
전라남도 1,580,098 490,436 31.04
경상북도 2,268,707 526,014 23.19
경상남도 2,804,287 605,380 21.59
제주특별자치도 565,084 120,841 21.38

지역별 사전투표율 심층 분석

전국 평균 사전투표율 20.62%를 기준으로 각 지역별 투표율을 살펴보면, 이전 전국 단위 선거들과 비교했을 때 다소 다른 양상을 보입니다.

높은 사전투표율을 보인 지역

  • 전라남도 (31.04%): 지방선거에서도 가장 높은 사전투표율을 기록하며, 꾸준히 높은 투표 참여율을 보이는 지역임을 확인시켜주었습니다. 지역 정치에 대한 높은 관심과 조직적인 참여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강원도 (25.20%): 전국 평균을 크게 상회하는 사전투표율을 보이며, 지방선거에 대한 높은 관심을 나타냈습니다.
  • 전라북도 (24.41%): 전라북도 역시 높은 사전투표율을 기록하며, 지역 정치 참여 열기가 높음을 보여주었습니다.
  • 경상북도 (23.19%): 전국 평균보다 높은 사전투표율을 기록하며, 지방선거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 의사를 나타냈습니다.
  • 세종특별자치시 (22.39%): 젊은 층의 비율이 높은 세종시가 비교적 높은 사전투표율을 보인 것은 주목할 만합니다.
  • 경상남도 (21.59%): 경상남도 역시 전국 평균보다 소폭 높은 사전투표율을 기록했습니다.
  • 제주특별자치도 (21.38%): 제주도 또한 전국 평균을 웃도는 사전투표율을 나타냈습니다.
  • 충청북도 (21.29%): 충청북도 역시 전국 평균보다 약간 높은 사전투표율을 보였습니다.
  • 서울특별시 (21.20%): 전국 유권자 수가 가장 많은 서울의 사전투표율이 평균을 상회하는 것은 전체 투표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습니다.

낮은 사전투표율을 보인 지역

  • 대구광역시 (14.80%): 전국에서 가장 낮은 사전투표율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지역적인 정치적 특성이나 지방선거에 대한 상대적인 관심도 차이 등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경기도 (19.06%): 전국 최대 유권자 수를 가진 경기도의 사전투표율은 전국 평균보다 소폭 낮았습니다. 이는 광범위한 지역 특성상 투표 당일 참여율이 높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 부산광역시 (18.59%): 주요 광역시 중 하나인 부산의 사전투표율이 전국 평균을 밑도는 것은 다소 특징적인 부분입니다.
  • 광주광역시 (17.28%): 이전 전국 단위 선거에서 높은 사전투표율을 보였던 광주가 이번 지방선거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사전투표율을 기록한 점이 눈에 띕니다. 이는 지방선거의 특성상 지역 현안에 대한 관심도가 다르게 작용한 결과일 수 있습니다.
  • 대전광역시 (19.74%): 대전은 전국 평균에 약간 못 미치는 사전투표율을 보였습니다.
  • 울산광역시 (19.65%): 울산의 사전투표율 역시 전국 평균을 하회했습니다.
  • 인천광역시 (20.08%): 인천은 전국 평균에 다소 못 미치는 사전투표율을 나타냈습니다.
  • 충청남도 (20.25%): 충청남도의 사전투표율은 전국 평균에 근접한 수준을 보였습니다.

전국 단위 선거와의 비교 및 시사점

제8회 지방선거의 사전투표율(20.62%)은 제20대 대통령선거(36.93%)나 제22대 국회의원선거(31.28%)에 비해 확연히 낮은 수치를 보입니다. 이는 유권자들이 전국적인 이슈보다는 지역 현안에 대한 관심도가 낮거나, 지방선거의 투표 참여 동기가 상대적으로 약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지역별 편차 역시 전국 단위 선거와 다소 다른 양상을 보입니다. 전통적으로 높은 투표율을 보였던 호남 지역의 경우, 지방선거에서는 그 격차가 줄어들거나 오히려 낮은 지역도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지방선거의 경우, 중앙 정치 이슈보다는 지역의 인물이나 정책에 대한 유권자들의 판단이 더 크게 작용하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대구광역시의 낮은 사전투표율은 지방선거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특정 정당에 대한 강한 지지세가 사전투표보다는 당일 투표로 이어지는 경향을 보여주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지방선거, 지역 발전을 위한 소중한 한 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사전투표율 분석을 통해, 지방선거에 대한 유권자들의 관심과 참여 양상이 전국 단위 선거와는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지방선거는 우리 지역의 대표자를 직접 뽑고, 지역 발전을 위한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선거입니다. 사전투표율에 대한 분석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유권자 스스로가 지역 현안에 관심을 가지고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는 것입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