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대통령 선거, 수도권 민심의 바로미터 경기도의 선택은?

2022년 대선, 광역자치단체 최대 규모 경기도의 표심을 권역별로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2022년 3월에 치러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경기도는 대한민국의 최대 광역자치단체로서, 수도권 민심의 향방을 가늠하는 중요한 지역입니다. 

이번에는 경기도 내 시·군을 권역별로 나누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에 대한 지지율을 비교 분석하고, 각 권역별 특징과 함께 표심의 차이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경기도, 이재명 후보가 근소하게 앞서… 권역별 결과는?

20대 대통령 선거에서 경기도 전체적으로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50.94%의 득표율로 45.62%를 얻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를 근소한 차이로 앞섰습니다. 하지만 경기도 내 다양한 지역적 특성을 고려할 때, 권역별 분석을 통해 더욱 세밀한 표심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경기도 권역별 득표율 분석: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차이?

경기도 내 시·군을 지리적 특성 및 생활권 등을 고려하여 크게 다음과 같은 권역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수원·성남·용인 등 남부 주요 도시 권역: (수원시, 성남시, 용인시)
  • 부천·안산 등 서부 산업 도시 권역: (부천시, 안산시, 광명시, 시흥시)
  • 의정부·고양·파주 등 북부 권역: (의정부시, 고양시, 파주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 평택·화성·오산 등 서남부 신도시 및 산업 권역: (평택시, 화성시, 오산시)
  • 구리·남양주·하남 등 동부 서울 인접 권역: (구리시, 남양주시, 하남시)
  • 여주·이천·안성 등 동남부 농촌 및 중소 도시 권역: (여주시, 이천시, 안성시)
  • 기타 소규모 도시 및 군: (군포시, 의왕시, 과천시, 광주시, 양평군, 가평군)

권역별 득표율 특징 분석: 서울 접근성과 도시 특성의 영향

각 권역별 주요 후보 득표율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 수원·성남·용인 등 남부 주요 도시 권역: 전반적으로 이재명 후보가 우세한 지역이 많았으나, 분당구와 용인시 수지구처럼 윤석열 후보의 지지율이 높은 곳도 나타났습니다. 이는 이 지역의 다양한 인구 구성과 주거 형태가 반영된 결과로 보입니다.
  • 부천·안산 등 서부 산업 도시 권역: 이 지역은 이재명 후보의 강세가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특히 안산시 상록구와 단원구, 시흥시 등에서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며 노동자 계층의 지지세를 확인시켜 주었습니다.
  • 의정부·고양·파주 등 북부 권역: 서울과 인접한 이 지역은 비교적 균형 잡힌 표심을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이재명 후보가 약간 우세한 경향을 나타냈습니다. 다만, 고양시 일산동구와 일산서구에서는 윤석열 후보의 지지율도 높게 나타났습니다.
  • 평택·화성·오산 등 서남부 신도시 및 산업 권역: 이 지역 역시 이재명 후보가 우세한 지역이 많았으나, 화성시에서는 두 후보가 비교적 접전을 벌이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 구리·남양주·하남 등 동부 서울 인접 권역: 이 지역은 서울로의 접근성이 좋아 신도시가 발달한 곳으로, 이재명 후보가 비교적 높은 지지율을 얻었습니다.
  • 여주·이천·안성 등 동남부 농촌 및 중소 도시 권역: 이 지역은 다른 권역에 비해 윤석열 후보의 지지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특히 여주시에서는 윤석열 후보가 5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습니다.
  • 기타 소규모 도시 및 군: 군포시와 광주시 등에서는 이재명 후보가 우세했으며, 과천시와 의왕시, 양평군, 가평군 등에서는 윤석열 후보의 지지율이 높게 나타나는 등 다양한 표심 분포를 보였습니다.

경기도 표심, 지역별 특성에 따라 다양한 분포

20대 대통령 선거 경기도 권역별 득표 현황 분석 결과, 경기도는 서울과의 접근성, 도시의 발달 정도, 산업 구조, 인구 구성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표심이 매우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전반적으로 이재명 후보가 근소하게 우세했지만, 서부 산업 도시와 동부 서울 인접 지역에서는 강세를 보인 반면, 동남부 농촌 및 중소 도시에서는 윤석열 후보의 지지율이 높게 나타나는 등 복잡하고 다층적인 민심을 보여주었습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