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22년 3월에 치러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충청남도는 서해안을 끼고 있는 지역으로, 농업, 어업, 제조업 등 다양한 산업 기반을 가지고 있으며, 예로부터 정치적 중원으로서의 역할을 해왔습니다.
- 2022년 대선, 다채로운 매력의 충남 지역별 표심 심층 분석
이번에는 충청남도 내 시·군을 지리적 특성에 따라 크게 북부, 남부, 서해안, 내륙 지역으로 나누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에 대한 지지율을 비교 분석하고, 각 지역별 표심의 특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충청남도, 윤석열 후보가 우세… 지역별 뚜렷한 차이 드러나
20대 대통령 선거에서 충청남도 전체적으로는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51.08%의 득표율로 44.96%를 얻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앞서 승리했습니다. 하지만 충청남도 내 다양한 지역적 특성을 고려할 때, 권역별 분석을 통해 더욱 깊이 있는 이해가 가능합니다.
충청남도 북부, 남부, 서해안, 내륙 지역별 득표율 분석
충청남도 내 시·군을 다음과 같이 네 지역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북부 지역: (천안시, 아산시, 당진시) - 비교적 도시화가 진행되었고, 제조업 기반이 강한 지역입니다.
- 남부 지역: (공주시, 부여군, 논산시, 계룡시, 금산군) - 역사적인 도시와 농업 중심 지역이 혼재되어 있습니다.
- 서해안 지역: (보령시, 서산시, 태안군, 서천군, 홍성군, 예산군, 청양군) - 해양 산업과 관광업, 농업이 발달한 지역입니다.
- 내륙 지역: (천안시 일부, 아산시 일부, 논산시 일부, 금산군 일부, 홍성군 일부, 예산군 일부) -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우나, 주로 농업 및 소규모 상업 중심의 지역으로 분류합니다. (일부 지역은 특성에 따라 중복 분류될 수 있습니다.)
지역별 득표율 특징 분석: 산업, 역사, 지리적 요인의 복합적 영향
각 지역별 주요 후보 득표율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북부 지역: 천안시는 서북구(이재명 49.01%, 윤석열 46.72%)에서는 이재명 후보가, 동남구(이재명 46.05%, 윤석열 49.82%)에서는 윤석열 후보가 우세한 양상을 보였습니다. 아산시(이재명 48.80%, 윤석열 47.09%)와 당진시(이재명 46.90%, 윤석열 49.22%)에서는 윤석열 후보가 근소하게 앞섰습니다. 이는 북부 지역이 비교적 젊은 층과 산업 인구가 많아 표심이 혼재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남부 지역: 공주시(이재명 41.71%, 윤석열 54.70%), 부여군(이재명 38.58%, 윤석열 57.69%), 논산시(이재명 46.45%, 윤석열 49.72%), 계룡시(이재명 42.83%, 윤석열 53.02%), 금산군(이재명 41.96%, 윤석열 54.48%) 모두 윤석열 후보가 뚜렷한 우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남부 지역의 보수적인 성향과 농촌 인구 비중이 높은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보입니다.
- 서해안 지역: 보령시(이재명 40.29%, 윤석열 56.00%), 서산시(이재명 45.07%, 윤석열 50.86%), 태안군(이재명 40.07%, 윤석열 56.49%), 서천군(이재명 44.36%, 윤석열 52.19%), 홍성군(이재명 41.79%, 윤석열 54.27%), 예산군(이재명 33.24%, 윤석열 63.12%), 청양군(이재명 35.94%, 윤석열 60.46%) 모두 윤석열 후보가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습니다. 이는 서해안 지역의 전통적인 보수 강세와 어업 및 농업 종사 인구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 내륙 지역: 내륙 지역은 북부와 남부, 서해안 지역의 특성이 혼합된 양상을 보였습니다. 천안시와 아산시 일부 지역에서는 표심이 분산되었고, 논산시와 금산군 일부 지역에서는 윤석열 후보의 우세가 나타났으며, 홍성군과 예산군 일부 지역에서는 보수적인 성향이 강하게 드러났습니다.
충청남도 표심, 지역별 특성에 따라 뚜렷한 차이 보여
20대 대통령 선거 충청남도 지역별 득표 현황 분석 결과, 충청남도는 북부 일부 도시 지역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윤석열 후보에 대한 지지세가 강한 지역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남부와 서해안 지역에서는 윤석열 후보의 압도적인 우세가 나타났으며, 이는 각 지역의 산업 구조, 역사적 배경, 그리고 인구 특성과 깊이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Tags:
선거분석